[미국뉴스] 美 물가↓ 경기침체×… '금값 고공행진' 왜?
페이지 정보
본문
"美 금리 인하 기대·불안한 정세·중앙은행들 매집 합작품" JP모건 "내년 하반기~25년 초사이, 2천300불까지 오를 수

금값은 보통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발생하고 경기 침체가 닥칠 때 오르지만 최근 들어 이런 통념이 깨지고 있다.
최근 금값이 역대 최고 수준에 올라선 것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불안한 국제 정세, 각국 중앙은행의 매집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1일 12월물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약 31.1g)당 2천71달러를 기록했다.
종전 역대 최고치인 2020년 8월 2051.50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금값은 이날 기준 최근 8주 가운데 7주 올라 올해 들어 11% 상승했다.
다만,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가 5일 2천20.50달러에 마감됐다.
일반적인 예상을 벗어난 금값의 상승세를 미 월가도 주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보통 금을 인플레이션의 헤지(hedge·위험 분산) 수단으로 인식하지만 최근 물가는 하락하고 있다.
금은 경기 침체시 안전자산으로도 꼽히지만 미 경제가 여전히 강해 증시가 뜨거워진 상황이다.
많은 이들이 꼽는 금값의 고공행진 이유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미 국채의 실질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했는데, 투자자들은 실질수익률이 내려갈 때 채권 대신 금으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
이자가 없는 금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또 미 국채 이자 하락은 달러 약세를 낳는데, 이는 미국 밖 투자자들에게 금을 저렴하게 보이게 한다.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낄 때도 금을 사 모으는 경향이 있다.
JP모건은 내년 하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연준의 금리 인하 행진으로 금값이 2천3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 이전글'5가지 지표'가 시사하는 美노동시장 냉각…"성장 둔화 신호" 23.12.07
- 다음글미 10월 무역적자 643억달러… 전월대비 5.1%↑ 23.12.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