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 한국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뉴스]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출!

작성자 : 사람과사회 작성일 : 2023-06-08

페이지 정보

본문

안보리는 '다자외교 꽃'…北압박 한미일 공조에 힘 실릴 듯
한국 가치외교 실현 최적 기회…글로벌 현안 적극 참여 기능
상임이사국 분열 속 북핵 공동 대응 한계 뚜렷 지적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구성 국가, 유엔 안보리 구성국가와 2024-2025 임기 비상임이사국 후보들. 

한국이 6(현지시간) 20242025 임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자리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는 한미일 3 공조에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다자외교 활동의 ' 안보리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있는 길이 열린 만큼 정부가 강조하는 가치 외교를 펼칠 최적의 기회를 잡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은 이날 미국 유엔본부에서 열린 비상임 이사국 선출을 위한 유엔총회 선거에서 당선돼 내년부터 2년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할 있게 됐다.

한국의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진출은 19961997, 20132014년에 이어 이번이 번째다.

안보리는 미국, 중국, 러시아 상임이사국 5개국과 대륙별로 할당된 임기 2년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으로 구성되며 세계 평화·안전 유지에 일차적 책임이 있는 유엔 최고 의사 결정 조직이다.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결정을 이행해야 의무가 있다. 이처럼 회원국을 대상으로 막강한 권한을 지닌 안보리는 경제 제재와 같은 비무력 조치는 물론이고 무력 사용이 가능한 강제 조치도 회원국에 내릴 있다.

평화유지군 활동, 유엔 회원국 가입 추천, 유엔사무총장 임명 추천, 국제사법재판소 재판관 선출 역할도 모두 안보리 이사국이 수행한다.

공식회의, 협의, 보충적 비공식 논의 안보리 모든 회의에 참여할 있고 결의 안보리 실질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자국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있다는 것은 안보리 이사국에 주어진 가장 이점이다.

무엇보다 한국은 내년부터 안보리에서 한반도 문제 당사국으로서 북한 관련 결의, 의장성명 문안 작성을 주도하며 북한 무력 도발의 불법성을 선명하게 강조할 있게 됐다.

상임이사국인 미국과 20232024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밀착 공조를 통해 북한 도발을 억제할 강한 압박 시그널을 보낼 있게 것이다.

그간 한국은 안보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구인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