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뉴스] 韓, 지난해 노인 일자리 44만개 늘어날 때 청년층은 1만개 증가
페이지 정보
본문
일자리 규모 비중, 50대가 처음으로 40대 제치고 1위

채용게시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늘어난 87만개 일자리 가운데 노인 일자리가 44만개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청년 일자리는 1% 수준인 1만개 증가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천645만개로 전년보다 87만개(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60세 이상 일자리가 44만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늘어난 일자리 2개 중 1개는 고령층 일자리인 셈이다. 이어 50대(26만개), 40대(10만개), 30대(5만개) 등 순으로 증가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1만개 늘어났다.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돌봄 수요 증가로 60세 이상이 많이 분포하는 보건·사회복지업에서 최근 일자리 증가세가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전체 2천645만개 일자리 가운데 점유 비중은 50대가 24.0%(635만개)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일자리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등 인구 고령화의 영향이다. 이어 40대 23.8%(631만개), 30대 20.0%(528만개) 순이었다.
성별로 살펴보면 일자리 규모 자체는 남성이 많지만 증가세는 여성에서 두드러졌다.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는 1천499만개(56.7%)로 여성 1천146만개(43.3%)의 1.31배 수준이다.
전년과 비교하면 여성의 일자리는 45만개 증가(4.1%)해 남성 42만개(2.폭 높아졌다.
- 이전글뉴스타파 대표 압수수색…'김만배 관여의혹' 23.12.07
- 다음글획정위, 선거구획정안 국회 제출…"서울·전북 각 1석 감석" 23.12.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