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것도 너무 비싸졌다" Funflation에 일부 미국인들 소외감 느껴 > 한인사회소식

본문 바로가기

[한인사회소식] "노는 것도 너무 비싸졌다" Funflation에 일부 미국인들 소외감 느껴

작성자 : 사람과사회 작성일 : 2023-10-21

페이지 정보

본문

인플레이션 속 공연관람과 놀이공원 등 오락비용 크게 올라
애나하임 디즈니랜드 등 작년에 이어 또 다시 입장료 인상

월스트리트저널은 “노는 것도 너무 비싸졌다”(It’s Getting Too Expensive to Have Fun)는 제목으로 오락비용이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현상은 ‘Funflation’으로 불리운다. 

그동안 Lunchflation, Tipflation, Shrinkflation 등 그동안 많은 신조어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Funflation이라는 표현도 등장한 것이다. 

많은 부문의 물가가 비싸진 만큼 오락비용도 오른게 당연할 수도 있지만 노동통계국 소비자 지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입장료와 수수료 비용은 식품, 개솔린 그리고 기타 필수품 가격보다 빠르게 상승했으며 올해에도 그 상승세는 계속돼고 있으며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미국인들이 소외감까지 느끼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미 가정들은 올해 라이브 공연 등 행사와 놀이공원에 참석하기 위해 팬데믹 기간 저축했던 상당한 돈을 토해내야만 했다고 신문은 전하고 있는데 월스트릿저널은 올해 48살 앤젤라 웬팅크 사연을 소개했다. 

앤젤라는 어릴적 매사추세츠 주에서 중산층, 저소득층 가정으로 자라나면서 정기적으로 콘서트에 가는건 필수적이고, 이룰 수 있는 부분이었지만 요즘 그녀의 자녀들에게는 그렇게 해 주는 것이 점점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샌 안토니오에 거주하는 앤젤라는 지난 1월 아마존에서 해고됐고, 테일러 스위프트가 공연을 위해 휴스턴을 찾을 무렵 퇴직금을 받았는데 그 퇴직금으로 딸을 위해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 티켓을 사 줄 수 있을지 고민을 하다가 결국 포기했다. 

엔젤라는 현재 광고대행사에서 다시 일을 시작했지만 딸을 위한 콘서트 한 자리를 위해 천달러 정도의 돈을 지불할 능력은 여전히 되지 않는다고 고백한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컨서트 티켓의 원가는 약 254달러이지만 리세일 가격은 천 달러를 점어서고 있으며 숨겨진 수수료는 49달러에서 499달러, 거기에 세금까지 붙게 되면 천정부지가 된다. 

라이브 콘서트의 경우 일부 소비자들, 즉 팬층이 두터운 경우 비싸더라도 산다는 강력한 수요로 인해 티켓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음악 업계에서는 이를 소셜미디어의 마케팅 파워와 스트링밍 덕분에 대중음악이 글로벌화 됐기 때문으로 평가하고 있다. 월스트릿저널은 한국 걸그룹 블랙핑크의 컨서트에 관해서도 덧붙이고 있는데 블랙핑크와 배드 버니는 최근 투어에서 전세계 공연장들을 가득 메우고 있으며 모두 매진이고, 어디서나 기록적인 참석률을 보이고 있다. 

인기 가수들 외에 전체적인 콘서트의 올해 북미지역 투어 평균 티켓 가격은 120달러($120.11)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7.4% 오른 것이며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에 비해서는 무려 27%나 뛰어오른 가격이다. 

콘서트 뿐 아니라 디즈니월드나 디즈니랜드 같은 놀이공원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디즈니랜드가 입장권 가격을 또 올린다고 발표했다. 

디즈니랜드와 디즈니월드는 하루 이용권의 가격을 194달러로 15달러 올리는 등 각종 입장권의 가격을 전반적으로 인상했는데 이 가격은 지난해 가격 인상에 이어 1년 만에 또 올린 것이다. 

디즈니월드의 경우 주차비와 연간 이용권 가격을 별도로 인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크레딧 카르마와 함께 지난달 초 전국 소비자 약 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거의 60% 응답자들은 오락 비용 상승으로 인해 올해 라이브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지출을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또 37%는 가고 싶은 행사도 인상된 오락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아예 오락을 포기한다고 밝힌 반면 어떤 이들 일부는 빚을 내서라도 가겠다고 답했다. 

전체 약 20%는 자신이 좋아하는 엔터테인먼트 활동을 계속 하기 위해 빚까지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한 것이다.  물론 약 26%의 미국인들은  라이브 엔터테인먼트에 절대 돈을 쓰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수치는 팬데믹 이전 16%에서 크게 늘어난 수치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구인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