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사회소식] 뉴욕서 한식 도시락점 운영 “한식 세계화는 재료의 국산화가 중요”
페이지 정보
본문
뉴욕서 한식 도시락점 운영 "한식 세계화는 재료의 국산화가 중요"

김한송 셰프 2018년 뉴욕 맨해튼에 오픈한 한식도시락 \'핸썸라이스\'의 김한송 셰프. [본인 제공]
미국조리사협회 총주방장 심사위원으로 뉴욕과 뉴저지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김한송 셰프(40)는 음식을 만드는 것만큼 식재료나 식문화가 가진 역사를 알리는 데도 열심이다.
그는 6일 연합뉴스와 코리아넷이 공동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김치를 담가도 배추나 고추·마늘을 달리하면 맛도 달라진다. 특히 원산지가 다르면 차이는 더 벌어지기 마련이기에 한식은 우리 것으로 만들어야 제맛을 낼 수 있다"며 재료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내 20여개 전통 요리 경연대회에서 수상을 했고, 음식과 식문화에 관한 7권의 책을 낸 그는 한때 잘나가는 스타 셰프였다.
요리 전문 채널 올리브TV의 '테이스티 로드2'를 진행했고 LG 휴대전화 오즈 CF에 출연하는 등 20대 후반에 이미 공인이 된 그는 새로운 도전을 위해 2011년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로드아일랜드주 존슨앤드웨일스대 대학원에서 요리·호텔·식당 경영 전반을 공부하는 호스피텔러티 석사 과정을 마치고, 한국인 최초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되고 공신력 있는 미국조리사협회의 총주방장(CEC) 및 총주방장 심사위원(ACE) 타이틀까지 획득했다.
그가 요리인으로서 보장된 미래를 포기하면서까지 미국에서 이루려 했던 것은 바로 한식의 전파였다.
십여년이 지난 지금 김 셰프는 세상 온갖 맛들이 경쟁하는 미식의 각축장 뉴욕 맨해튼에서도 핫스폿으로 손꼽히는 한식 도시락 전문점 '핸썸라이스'의 오너가 됐다. 뉴저지에서는 서울 프라이드치킨도 운영한다.
2018년 문을 연 핸썸라이스는 뉴욕타임스·폭스뉴스가 손꼽은 맨해튼 3대 점심 식당으로 지정되며 미국 전역에 소개됐다. 이후 한 달 반 동안은 가게 앞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대기 인원으로 문전성시를 이뤘다고 한다.
따뜻한 밥에 불고기·갈비·제육 등과 나물 등 채소를 곁들인 한식의 안락함을 도시락 형태로 많은 뉴요커들에게 전하겠다는 그의 목표가 성공한 것이다.
그는 한식 열풍의 수혜가 한국 농부들에게 갈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진정한 한식의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식을 단순히 먹는 것만이 아닌, 눈과 귀로 즐기고 더불어 한국 문화로까지 확장해 선보이면 그 음식을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요리사가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는 것도 훌륭한 일이다. 다만 나는 살면서 돈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해외에서 한국 요리사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당당하게 활동할 때 더 빛이 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이 내가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기인 것 같다.
한식을 활용해 미국 공립학교의 급식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데 미국 사람들의 입맛에 잘 맞고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해 건강에도 좋은 한식 메뉴로 구성된 급식을 소개하는 'K-푸드 레볼루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한식의 매력은 무한하다. 그중에서도 모든 인종이 살고 있는 미국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채식 메뉴'에 초점을 맞춘 급식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하고 맛있는 나물, 과일, 곡류 등을 활용해 쌈밥, 비건 잡채, 두부, 견과류 등이 들어간 식단을 제공한다.
인스턴트 위주에 비만을 불러오는 급식이 난무하는 공립학교가 대상으로 건강도 챙기면서 청소년들에게 한식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서다.
우선 뉴욕과 뉴저지주의 상·하원, 시의원 및 시민·학부모 단체 등 다양한 협의체와 협정을 맺어 시범학교 운영부터 시작해 전국 캠페인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이전글美 조지아주 첫 아시아계 시장 탄생…한국계 존 박 시의원 23.12.07
- 다음글뉴섬 주지사, 화재피해 10Fwy 철거 없이 3-5주 내에 복구 완료 재개장 예상 23.11.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